본문 바로가기

교통기술사 예상문제(말그대로 예상)

(24)
대중교통전용지구란? 1. 개 요 도시지역 교통 혼잡으로 보행환경 악화, 대중교통 이용 불편, 소음·배기가스 등의 문제가 유발됨에 따라 도심 내 교통환경 개선 필요 2. 대중교통전용지구란? 승용차를 포함한 일반차량의 전용지구 내 진입을 허용하지 않고 버스와 노면전차와 같은 대중교통수단만 통과하도록 하는 지구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폭을 축소하여 대중교통수단이 이용하는 차로 이외의 공간은 친환경적이며 쾌적한 보행로를 조성하여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통행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를 말함 3. 법적근거 ①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33조 ②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시행령 제14조 ③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지에 관한 법률」 제12조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33조 (교통수요관리의 시행) 제33조(교통수요관리의 시행) ① 시..
스마트 복합쉼터 1. 개 요 1) 스마트 복합쉼터란? - 기존 졸음쉼터에 문화체험, 경관 조망 등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거점시설을 말함 2) 목 적 - 최신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고 지역 자원을 연계·공유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하는 것이 목적임 2. 배 경 - 도로는 지역의 관문역할을 수행하면서, 신속한 이동성, 접근성, 안정성뿐만 아니라 이용자 편의제고 등 다양한 가치가 요구됨 - 특히 일반국도 쉼터 등은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며, 도로 이용자들과 주민들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지역 홍보, 일자리 창출 등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시설 구축이 요구됨 - 도로 공간에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자율성, 창의성 발휘를 유도하고, 역사·문화 등 관광자원과 연계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D)란?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D : Mobility on Demand)란 무엇일까? 내가 이 단어를 알듯 말듯 궁금하게 느끼게 된 이유는 2020년 7월27일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보고서 부터다 ‘수요응답형 등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성과를 지역 곳곳으로 수요응답형 등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 내가 알고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DRT : Demand Responsive Transit)인가? 농어촌지역이나 벽지노선등에 대부분 교통복지 차원에서 교통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예약방식 또는 대부분 전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아날로그 방식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을 말하는 건가?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도입을 각 지자체에서 검토하고 시행한지는 꽤 시간이 흘렀는데 이제서야 그 성과가 지역곳곳으로 나타나는 것인가? 라..
교통혼잡관리 개선기법(CMS) 교통혼잡관리 개선기법(Congestion Management System)은 기존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용량을 제고하는 방안 풀어서 설명하자면 현재 사용중인 교통시설물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도로의 능력(용량)이 최대로 발휘되는가 아니면 능력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는가 즉 막히느냐 안 막히느냐가 판가름되는 중요한 기법임 무조건적인 도로의 신설이 아닌 현재 설치되어있는 교통시설물의 능력치(용량)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운영효율성 극대화) 용량을 제고하는 방안 - 기존의 교통체계 및 시설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특히 첨두시간대의) 차량교통수요를 감소시키거나 별도의 운영기법을 사용하여 용량을 증대하거나 도로시설물의 확충을 통하여 용량확대 및 교통혼잡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총칭함 교통혼잡의 ..
꼭 알아두길 바라는 약어(정리하고 기억해야할 대상) ADB Asian Development Bank 아시아 개발 은행 BTL Build - Transfer - Lease 임대형 민자사업 BTO Build - Transfer - Operate 수익형 민자사업 FTA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GA Government Agency 정부 관계기관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국제통화기금 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 한국개발연구원 KEC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한국도로공사 KEXIM Export-Import Bank of Korea 한국수출입은행 KOFC Korea Finance Corporati..
예비타당성제도 개편방안(2019.04) 1. 추진배경 제도 도입 후 20년이 경과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에 지역간 균형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가치 실현, 경제·사회적 여건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2019년 4월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개편방안이 마련되었음 ▶ 균형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가치에 대한 실현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경제성이 예타 통과의 결정적 요소로 작용 ▶ 당초 예타 대상이었던 SOC외의 복지사업 등에도 시행, 미시행의 평가방식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 ▶ 연구기관인 KDI가 경제성분석 뿐만 아니라 정책적 판단을 포함한 종합평가까지 모두 수행하는 것은 문제라는 인식 ▶ 복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예타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조사기관 확대 필요성 제기 ▶ 예타 조사기간의 장기화로..
예비타당성조사 1. 예비타당성조사란? 대규모 국가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대해 기획재정부에서 사업의 타당성을 객관적, 중립적 기준에 따라 사전에 검증하는 제도 예산 낭비와 사업 부실화를 방지하고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999년 도입 주관부처가 아닌 기획재정부가 "객관적인 기준"으로 "공정"하게 조사함 조사결과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예산 편성이 가능하다 ※ 법상에서의 정의 기획재정부 훈령 제435호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제1장 제2조 예비타당성 조사 정의 예비타당성조사는 국가재정법 제38조 및 같은법 시행령 13조의 규정에 따라 대규모 신규사업에 대한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장관 주관으로 실시하는 사전적인 타당성 검증 평가를 말한다. 예타는 대규모 재정사업의 신규투자..
교통사고누적지점(사고잦은지점),구간 선정기준 "교통사고 누적지점"이란 [교통안전법 시행령] 별표 5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한 교차로 및 횡단보도의 일정한 지점을 말한다. "교통사고 누적구간"이안 [교통안전법 시행령] 별표 5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한 단일로의 일정한 구간을 말한다. 사고누적지점, 사고누적구간 선정 기준은 교통사고원인조사지침 제5조(사고누적지점,구간 선정)에 따른다. 교통사고 원인조사 지침 제5조 제5조(사고누적지점·구간 선정) ① 사고누적지점 · 구간의 선정기준은 최근 3년 동안 사망사고 3건 이상 또는 중 상사고 이상의 교통사고 10건 이상 발생한 지점·구간으로 한다 구분 사고누적지점 사고누적구간 조사 단위 ▶ 교차로를 포함하여 교차로, 횡단보도 정지선 후방 150m이내의 차도부분 ▶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직선로(단일로..
지자체 도로건설관리계획에서 도로관리(유지보수)의 문제점 ※ 본 내용은 [도로관리방안 연구, 국토교통부]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도로관리(유지보수)의 문제점 우리나라 도로는 한국도로공사, 지방청, 지자체 등 도로관리청이 도로의 위계별로 각기 유지,보수,관리를 각기 수행 - 행정경계 및 위임국도,지정국도 등에 따른 관리주체별 업무분산으로 도로관리에 대한 비효율성 존재 - 지자체별 도로관리 전문성 및 지역 재정여건 등이 상이하여 도로관리청 연결,접속구간에 대한 유지관리의 연속성이 미흡함 간선기능을 수행하는 도로망에 대해 연속성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 각 도로별 간선기능 등을 분석하고, 도로 기능별로 필요한 관리업무를 파악하여 관리기관 조정 및 역할수준을 제고하는 도로관리체계 구축방안 마련 필요함 또한, 지방분권강화 기조 등 정치,경제,..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정의와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정의 고급 BRT는 전용주행로, 교차로 우선처리, 수평승하차, 전용차량 등 체계시설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아래 목표 수준이상으로 운행하는 BRT를 말함 기존 버스 대비 높은 평균통행속도, 정시성, 서비스 수준을 갖추어야 함 ① 평균통행속도 - 25㎞/h(일반노선), 35㎞/h(급행노선) ② 정시성 지표 - 출발 및 도착 예정시간 대비 2분 이내 2.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기능 및 역할 S-BRT는 대도시권에서 광역‧도시철도를 보완하거나, 중소도시의 간선교통을 담당할 수 있음 대도시권 광역·도시철도를 보완하는 경우 ① 광역‧도시철도와 효율적인 연계체계를 마련한다. ② 주변의 분산된 지선버스노선과의 효율적인 연계체계를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