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1) 스마트 복합쉼터란?
- 기존 졸음쉼터에 문화체험, 경관 조망 등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거점시설을 말함
2) 목 적
- 최신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고 지역 자원을 연계·공유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하는 것이 목적임
2. 배 경
- 도로는 지역의 관문역할을 수행하면서, 신속한 이동성, 접근성, 안정성뿐만 아니라
이용자 편의제고 등 다양한 가치가 요구됨
- 특히 일반국도 쉼터 등은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며, 도로 이용자들과 주민들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지역 홍보, 일자리 창출 등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시설 구축이 요구됨
- 도로 공간에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자율성, 창의성 발휘를 유도하고,
역사·문화 등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역 특색을 반영한 쉼터 조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아울러 Iot, ICT 등 최신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여, 운전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친환경 공간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3. 스마트 복합쉼터 추진현황
- 국토교통부는 도로 이용자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쉼터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스마트 복합쉼터 조성사업을 2020년 처음 시작
- 스마트 복합쉼터는 기존 국도 졸음쉼터에
문화체험, 경관조망 등 지역 자원을 연계하여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편의시설로
일반국도 편의시설 조성과 관련된 최초의 중앙정부-지자체간 협력을 통한 시범사업임
- 2020년 현재 전국에 5개소선정하여 착공 예정이며,
사업대상지는 강원 인제, 충북 옥천, 전북 부안, 전남 고흥, 경남 하동임
- 2021년에도 스마트 복합쉼터의 확대를 위한 노력은 이루어지는데 전국 대상 총 8개소가 선정예정이며,
선정된 쉼터 1개소당 약 30억원이상 사업비(정부 : 지자체 = 20억 : 10억 원 이상 매칭)가 투입될 예정임
4. 기대효과
- 도로 이용자 편의제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관광 자원 등과 연계하여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5. 추진방안
- 지자체에서 원하는 위치에 필요로 하는 시설들을 기획하여, 사업 시행 계획을 수립한 후(Bottom-Up), 정부 선정이후 협업하며 추진
- 도로관리청이 쉼터 기반시설을 조성, 지자체는 일자리 창출 지역홍보 등을 위한 각종 시설물 설치
- 지자체에서 체계적으로 운영 · 관리하되, 필요 시 주민 협의체 등을 구성하여 내실 있는 복합쉼터로 운영 관리함
6. 사 례
'교통기술사 예상문제(말그대로 예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승시설의 개념 및 유형 (0) | 2020.12.10 |
---|---|
대중교통전용지구란? (0) | 2020.11.06 |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D)란? (0) | 2020.08.05 |
교통혼잡관리 개선기법(CMS) (0) | 2020.04.20 |
꼭 알아두길 바라는 약어(정리하고 기억해야할 대상)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