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기술사

(251)
목표 100m 달리기 시합에 출전했다면 120m를 달려야한다.그래야 목표 지점에서 최고기록을 낼 수 있다. 과정의 끝은 목표지점이 아니다. 목표 너머에 있다. 출처 : 두근두근
차로운영관리 (홀수차로) - 도시지역 홀수차로 ★도시지역★ 양방향좌회전 1. 도시지역 도시지역의 차로수는 그 도로의 여건에 따라 홀수 차로로 할 수 있음 아래 그림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첫째 (a) 교차로와 교차로 사이구간에 좌회전 진입을 위한 대기차로로 사용 둘째 (b) 좌회전 전용차로(또는 유턴)로 이용 셋째 (c) 중앙차로를 양방향 모두 좌회전차로로 이용 특히 양방향 좌회전 차로는 좌회전하려는 차량과 대향차로의 직진차량 사이에 상충이 예상되는 지역, 즉 도로 주변 토지나 시설물에 접근을 하려는 도로 주변이용자들의 출입 요구 민원이 많고 직진차량과 회전차량의 충돌사고가 빈번한 구간에 설치구분 내용 미국에서 연구된양방향 좌회전차로의 장점 1. 직진차량으로부터 좌회전차량을 분리함으로써 도로용량과 통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후미 및 측면 충..
공부, 일 공부는 제대로 그리고 꾸준히! 일은 바르게 그리고 빠르게! 이것이 진리 자료출처 : 두근두근 30th
대중교통이란? 대중교통(大衆交通, 영어: public transport, public transportation, public transit, mass transit)기차, 자동차, 배, 비행기 등을 이용해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이동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버스, 철도, 항공편, 연락선 등의 정해진 일정과 노선에 따른 연결편이 마련되어 있을 때 그 이동 수단을 대중 교통 수단이라고 말한다.개인이 교통수단을 관리하는 개인교통과 구별하여 공공기관이나 정부의 관리를 받는 기업이 운영하는 교통수단이란 뜻으로 '공공 교통'이란 말을 쓰자는 주장도 있다 ※ 단점대중교통의 단점은 자주 환승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과 주거지역의 이동시간 즉, 거리를 최대한 줄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기존에..
Downs_Thomson Paradox Downs_Thomson Paradox는 개인교통을 위한 도로용량증가는 오히려 통행비용을 상승시킨다는 이론 다운스-톰슨 역설(Downs-Thomson paradox)은,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자동차의 평균 속력이 동일한 거리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동할 때의 평균 속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에 따르면 도로를 늘리는 것은 전체적으로 교통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도로가 늘어나면 교통 수단을 대중교통에서 자동차로 바꾸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의 감소나 운임의 상승을 일으키며, 따라서 대중교통 이용객은 더 줄어든다. 이러한 악순환이 계속되어 결국 도로가 늘어나기 전보다 교통 상황은 더 나빠지게 된다. 만일 이 주장이 참이라면 교통 체증에 대한 해결책으로..
피기백 수송시스템 (Piggyback system) 피기백(Piggyback) 수송시스템 트럭 또는 컨테이너를 화차에 양․하역하여 수송하는 시스템TOFC(Trailer On Flat Car)방식으로도 불림일명 "어부바" 수송방식 적재방식에 따라서 수평식과 수직식으로 나뉘며수평식은 일반 평판화차를 수직식은 저상화차를 사용하여 운행함수평식은 하역장비가 필요 없지만, 수직식은 전용 크레인이 필요함 장 점 - 기존 평판 화차를 크게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음.- 컨테이너 및 트레일러 외에도 택배화물 및 이사화물을 적재한 집배송용 4톤 트럭을 화물터미널역에서 그대로 전용화차에 적재하여 직송 가능함.- 특히 최근 일본에서는 인건비, 연료비, 차량유지비, 화물차량터미널 등 수송비절감과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하여 심화되는 도로체증 및 환경오염방지에 일조하는 것으로 ..
비행장시설 설치기준(개정전문) 2018년
반발효과(Rebound Effect) 반발효과란, 소비자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오히려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설명하는 경제학 용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추진한 일이 오히려 의도한 것과 반대의 결과를 가져오는 현상을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라고 한다. 교통혼잡이 완화되었을 때 교통량이 더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연비가 개선돼 통행거리가 더 증가하는 경우, 차량의 안전장치가 보강돼 운전자의 안전의식이 결여되는 경우가 교통부문에서 나타나는 반발효과이다
lead time (배송시간간격) ▪ 리드타임(Lead Time) : 주문하는 시점과 그 주문이 배송되는 시점간의 시간 간격 (직접 만드는 경우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 리드타임이란 고객의 주문부터 납품까지의 소요시간 주문과 동시에 납품까지 얼마나 소요되는가를 측정한 것 Lead time 줄이는 방법 1. 정보나 원자재, 물건의 정체현상을 줄인다. 2. 납기일을 준수 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3. 각 부품을 모듈화 한다. +++비교하여 참고+++ - Tact time(택트타임) : 제품 한개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 (고객중심적인시간) - Cycle time(사이클타임) : 단위공정 한 단위를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회사가 생산가능한 시간) - Lead time(리드타임) : 주문하는 시점과 그 주문이 배송되는 시점간의 시간 간격
Critical Gap , Critical lag Critical Gap : 임계차간시간 (臨界車間時間, critical gap) 상충교통류과 합류하거나 교차할 때 어떤 값보다도 작은 차간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그 차간시간을 수락할 확률과, 이 값보다 큰 차간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수락을 거부할 확률이 같게 되는 차간시간의 크기 Critical lag : 임계간격 (臨界間隔, critical lag) 임계차간시간의 정의와 비슷한데 차간시간(gap)대신에 수락에 이용될 수 있는 순간격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