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51)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이용가능 차량은?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차량은? 어떻게 구분하지? 바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시행 고시]와 [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1]에 그 기준이 나와있음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통행가능차량 9인승 이상 승용자동차 및 승합자동차 (승용자동차 또는 12인승 이하의 승합자동차는 6인 이상이 승차한 경우에 한함) 그렇다면 승용자동차 우리가 알고 있는 승용차는 어디까지가 승용차인가? 그랜져, 쏘나타, 아반떼, 싼타페, 스타렉스, 제네시스, 그레이스, 넥쏘, 라비타, I30, 베라크루즈, 벨로스터, 엑센트, 에쿠스, 투싼, 모닝, 카니발, K3, K5, K7, K9, 스포티지, 쏘렌토, 모하비, SM3, SM5, SM7, QM3, QM5, QM6, 스파크, 말리부, 쿠루즈, 마티즈, 올란도, 트렉스, 렉스턴, 로디우스, 모쏘..
럼블 스트립(Rumble strips)이란? 럼블 스트립이란? (정의) 차로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벗어난 차량으로 하여금, 진동과 소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각심과 주의를 환기시켜 차로로 회차토록하는 도로안전시설이며 졸음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시설임 노면요철포장(Rumble Strip)은 잠재적인 위험을 지니고 있는 구간의 노면에 인위적인 요철을 만들어 차량이 이를 통과할 때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과 차체의 진동을 통해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임으로써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설임 종 류 일반적으로 노면요철포장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음 1) 절삭형 - 절삭형은 포장면을 지름 600mm의 회전 드럼에 부착된 절삭장비로 깎아서 만드는 방식 2) 다짐형 - 다짐형은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에 사용되며, 원형(또는 사각형)의 강..
소소하지만 구글한테 캐어받고 있는 기분이 들어... ㅎㅎ
보호좌회전 vs 비보호좌회전 결정 교차점에서의 교통류처리 방법은 상당히 많은 고민을 해야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고 그냥 놔둘것인가?(무통제) 아니면 최소한의 표지판을 설치하여 표지판통제를 할 것인가?(표지판통제) 신호를 설치한다면 신호제어를 통해 교통류를 통제할 것인가? 아니면 점멸신호를 설치하여 교차로에 접근시 차량속도를 줄이라는 사인을 보내 사고의 발생의 위험을 줄일것인가? 좌회전교통류를 신호에 의해 제어할 것인가 아니면 보호하지 아니하고 비보호로 운영할 것인가? 좌회전을 금지한 다면 좌회전 교통류를 어떤식으로 처리할 것인가? 교차로에 교통량의 집중으로 서로다른 방향의 교통류가 서로 상충하여 모든방향의 교통류들이 상충지점에서 움직일수 없게 된다면 이 지점을 공간적으로 분리(입체화)하여 상충..
100만 특례시 50만 특례시 지방자치법 개정 32년 만에 전면 개정된 지방자치법 2022년 1월 13일 부터 시행 어떤 것이 바뀌었을까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이신 김순은 교수님이 뉴스를 통해 말씀해 주신 내용을 정리해 보면 5가지로 요약될수있다. 여기서 특례시에 관한 규정도 한꼭지로 들어가 있어 특례시를 이해하는데 있어 배경지식으로 알아들 필요가 있어 보인다. 첫째 종전 단체자치 중심의 규정을 주민자치중심으로 전환한 것 지방정부의 정책과정에 참여할 주민의 권리를 일반적으로 규정한 외에 주민직접발안제도를 비롯해 주민의 직접참정제도를 실질적으로 강화 직접참여 연령을 19세에서 18세로 인하하고 주민감사청구의 주민정족수 요건을 대폭 완화 지방정부의 다양성을 실현할 기관구성의 다양성에 관한 규정이 신설됐는데 최종 선택은 주민투표에 의해 결정..
활주로 가시거리 : RVR(Runway visual Range) 활주로 가시거리란? 활주로 가시거리를 의미하는 Runway Visual Range 의 약어로, 활주로의 중심선 상에 있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활주로의 표면 표시나 활주로를 나타내는 등화 또는 중심선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 활주로가시거리(RVR) 500m 항공기 시정에 대한 내용 사람은 = 시력 사람은 시력이 좋지 않으면 안경을 쓰거나 라식수술을 받으면 되지만 항공기 = 시정 항공기는 시정이 좋지 않으면 자연의 범위기 때문에 순응하고 잘 관측하는 것이 중요함 시정의 종류 관측방법에 따라 수평시정 - 관측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특정목표물이 어디까지 보이는가 수직시정 - 관측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특정목표물이 어디까지 보이는가 RVV - 활주로 시정 (Runway Visibility) - 활주로 중앙선 상에서 조종..
바람장미(wind rose) = 풍배도 바람과 장미 둘과의 상관관계가 있을까? 윈드로즈? 뭘까 뭘까 우선 바람장미로 검색해 본 이미지는 아래와 같다 뱅글뱅글 돌아가는 원에 그려지는 막대그래프들 바람의 세기에 따라서 바뀌는 색깔 보다 보니 장미꽃같아 보인다 아하 그래서 바람장미라고 불리우는 구나 좀 억지스럽기는 해도 이렇게 이미지로 기억하는것이 장기기억으로 넘기기 쉬우니까 음... 기억하자 바람장미! 바람장미란?(Wind rose) 바람장미는 관측지점의 어느 기간에 대하여 각 방위별 풍향 출현 빈도를 방사 모양의 그래프에 나타낸 것으로, 출현빈도의 백분율(%)을 각각의 풍향에 대응하는 방위판 위에 방위선의 길이로 나타냄 단, 고요(Calm, 풍속 0.4m/s 이하)의 출현빈도는 그래프의 중심에 표시함 막대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나타내며, 각..
윈드시어(Wind Shear) 경보시스템 윈드시어란? 윈드시어 처음들어보는 용어다 사전적인 의미로 접근해 보면 윈드(Wind : 바람)과 시어(Shear : 절단, 잘라끊다, (압력에 못 이겨) 부러지다.) 바람이 절단나다. 잘라지다. 부러지다. 이해가 잘 되지 않는군.... 그림을 보면 이해가 잘 되려나 이것저것 구글링을 해본 결과 조금은 이해가 된다. 윈드시어란? 갑작스럽게 바람의 방향이나 세기가 바뀌는 난기류의 일종임 2020년 9월 29일자로 기상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용어 "윈드시어"가 "급변풍"으로 변경되었다 용어가 확정되기 전에는 '풍속 수직 비틀림', '순간돌풍', '전단풍'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대기 중 짧은 수평수직거리 내에서 바람의 방향과 속도가 갑자기 변하는 난기류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 바람이 정상적으로 불지 않고 변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