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활주로 가시거리 : RVR(Runway visual Range)

728x90
반응형

 

활주로 가시거리란?

 

자료 : https://pilotclimb.com/runway-visual-range-rvr/

 

활주로 가시거리를 의미하는 Runway Visual Range 의 약어로, 활주로의 중심선 상에 있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활주로의 표면 표시 활주로를 나타내는 등화 또는 중심선식별할 수 있는 거리

 

활주로가시거리(RVR) 500m

 

항공기 시정에 대한 내용

 

사람은 = 시력

사람은 시력이 좋지 않으면 안경을 쓰거나 라식수술을 받으면 되지만

항공기 = 시정

항공기는 시정이 좋지 않으면 자연의 범위기 때문에 순응하고 잘 관측하는 것이 중요

사진출처 : 기상사진전 입상작 '황사'

시정의 종류

 

관측방법에 따라 수평시정  - 관측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특정목표물이 어디까지 보이는가
수직시정  - 관측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특정목표물이 어디까지 보이는가
RVV  - 활주로 시정 (Runway Visibility)
 - 활주로 중앙선 상에서 조종사가 활주로 방향을 볼 때, 특정목표물(활주로 표면 표시, 활주로 표시등, 활주로 중앙선 표시)을 확인 할 수 있는 수평거리
 - 투과율계로 관측
 보고 방법에 따라 최단시정  - 방위별로 수평시정이 동일하지 않을 때 각 방위별 시정 중 가장 짧은 거리
우시정  - 방위별로 수평시정을 관측하며 수평원이 180도 이상 차지하는 최대시정 
 기타 RVR  - 활주로 가시거리 (Runway Visual Range)
 - 항공기가 접지하는 지점에서 조종사의 평균 눈높이(지상 약 5m 위)에서 이륙방향 또는 착륙방향을 봤을 때 활주로 또는 활주로를 나타내는 특정등화(활주로 등, 활주로 중심등) 또는 표식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
 - 주로 계기관측을 실시함

 

 

시정은 거리로 나타냅니다.

거리는 재는 단위는 km와 mile이 있습니다. 

기상청과 항공기상청은 km 단위를 사용하지만, 공군에서는 mile을 사용합니다. 

mile도 statue mile과 nautical mile이 있는데, 공군에서는 statue mile을 사용합니다. 줄여서 SM이라고 씁니다. nautical mile의 경우 속도나 장거리 개념에서 많이 쓰이는 것 같고, 단거리나 정지돼있는 개념에서는 SM을 쓰는 것 같습니다.  

항공기상에서 시정이 1마일이라고 한다면 (nautical mile이 아닌 statue mile인 것에 주의하기) 항공기상청에서는 1600m로 표현합니다. 참고로 1 nautical mile의 경우 약 1.852km입니다. SM과 Km, 이 두 단위 간의 변환을 잘하면 업무하기 편합니다. 왜냐하면 업무 시 참고해야할 자료들의 출처가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