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자체의 트램 사업 지원을 위해 '트램 차량 표준규격'을 마련했다
대광위는 트램 성능, 차체, 이용자 편의성, 안전 등
4개 분야 총 35개 세부 항목에 대한 표준규격을 제시함
표준규격의 주요내용
(차량 종류)
트램 차량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유가선 트램과
국내에서 개발을 진행 중인 무가선 트램 등 2종류로 구분*하였다.
* 유가선 : 선로를 따라 설치된 전기선으로부터 차량에 전력을 공급 / 전기선 설치 ○ 무가선 : 배터리(저장) 또는 연료전지(변환·생산)로부터 전력을 공급 / 전기선 설치 × |
- 유가선과 무가선 차량의 성능기준은 대부분 동일하나, 무가선은 에너지 저장방식(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따라 전기성능을 별도로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성능)
차량의 성능은 최고속도를 시속 70㎞로, 입력전압은 도심지 공급에 적합한 750V로, 가·감속 수준 등 주요 성능은 해외에서 주로 운행되는 트램 차량과 동등한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무가선 특별사양)
무가선 전력공급 방식은 현재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 도입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battery), 슈퍼 커패시터(super-capacitor, 초고용량 축전기), 수소 연료전지 등 3가지를 제시하였다.
- 각 무가선 방식별로 기존 도시철도에 비해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트램의 노선특성을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충전용량(예시 : 배터리의 경우 40㎞ 이상 운행)과 충전시간을 설정**하였다.
* 기존 도시철도 노선길이 : 20∼60㎞ / 트램 노선길이 : 5∼35㎞
** 배터리 : 용량 200kwh 이상, 충전시간 급속 2h, 완속 30min / 슈퍼캡 : 용량 8kwh 이상, 충전시간 20s / 수소 연료전지 : 수소탱크 용량 40㎏ 이상
(차체)
차체 규격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운행되는 5모듈 1편성(35m)을 기본으로 하고,
국내 도심지 도로의 차로 폭(2.75m∼)과 육교 등 도로시설의 높이(4.5m∼) 등을 고려하여
도로주행에 적합하도록 차량 폭은 2.65m로, 차량 높이는 3.6m로 하였다.
(이용자 편의성)
냉·난방 성능(8∼10kW)과 조명 밝기(250lx) 등은 차체 규격에 적합한 수준으로 하고,
바닥 높이는 교통약자의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저상버스와 동일한 350㎜로 설정하였다.
(안전)
마지막으로, 안전을 고려하여 충돌강도와 차량 무게 등은 유럽 규격(European Norm), 도시철도건설규칙 등
국내외 기준을 준용하여 제시하였다.
<트램 차량 표준규격 주요항목>
무가선 전력공급 방식별 특징
1) 배터리(battery) 방식
(개요)
차량기지 등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
(특징)
충전시설 설치(차량기지) 및 충전전력 공급(전기선)이 용이
- 충전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완속 2h, 급속 30min), 현재 기술여건 상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거리가 40㎞ 수준 (국가R&D, 200kwh 용량 기준)
(사례)
국내 무가선 저상트램(국가R&D, 철기연 주관) / 프랑스 니스(alstom), 터키 콘냐(skoda), 독일 뮌헨(stadler) 등은 가선·배터리 혼용
2) 슈퍼캡(supercapacitor) 방식
(개요)
각 정류장에서 짧은 시간(20s) 동안 다음 정류장(0.5㎞ 내외)까지 운행 가능한 만큼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운행
(특징)
적정 정류장 간격 확보 시 노선길이와 무관하게 운행 가능
- 도심지 내 각 정류장에 전기 공급시설(변전소, 충전시설 등) 필요
(사례)
스페인 세비야(CAF)·사라고사(CAF), 대만 카오슝(CAF)
3) 수소 연료전지 방식(수소 연료전지-ESS hybrid)
(개요)
차량기지 등에서 수소를 충전하고, 수소 연료전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운행하는 방식
(특징)
등·감속 구간에서의 잉여전력은 배터리에 저장하여 가동·가속 구간 등에서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도 활용 가능
- 수소 저장 및 운송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수소 트램은 기술개발 단계로 국내외 운행사례가 없음
2023.09.12 -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용어정리] - 노면전차시설 사업의 시행에 따른 사업특수편익은?
노면전차시설 사업의 시행에 따른 사업특수편익은?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제7차 개정)상에 제시된 노면전차시설 사업의 시행에 따른 사업특수편익은? ■ 노면전차란? 노면전차는 기본적으로 도로 위에 자동차 교통과 병행하여 운행할 수 있다.
background-knowledge-bank.tistory.com
2023.05.08 -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용어정리] - 트램 설계 시 주행로 및 교차로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트램 설계 시 주행로 및 교차로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교통기술사 129회 4교시 2번문제 주행로 설계기준 ▶ 주행로의 설계기준은 주행로를 운행하는 노면전차의 특성, 도로의 기능과 기하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할 수 있다. ▶ 주행로는 도로 중앙
background-knowledge-bank.tistory.com
'교통관련 주요이슈 기사 및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 왕숙, 고양창릉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0) | 2020.12.29 |
---|---|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 (0) | 2020.11.18 |
포스트코로나(Post-Corona) 교통_1 (0) | 2020.06.09 |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기본법(2018.12 제정 / 2020.1.1 시행) (0) | 2020.04.03 |
대도시권 광역교통비전 2030 보도자료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