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용어정리

스탠딩 웨이브 현상(Standing Wave)

728x90
반응형
  • 스탠딩 웨이브 (Standing Wave)

  • 고속주행 시 타이어의 접지부에서 받는 주름이 
  • 다음 접지 시점까지 복원되지 않아 
  • 접지부 뒤쪽에 진동물결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 타이어 발열이 급속히 증가하여 타이어 파열로 이어질 수 있음


  • 고속주행 시 나타나는 타이어 물결현상(찌그러짐)으로, 
  • 자동차가 도로위를 주행할 때 노면과 맞닿는 부분은 곡선이 아니라 직선인 상태로 접촉하게됨

    그러나 타이어는 탄성이 강하기 때문에 접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 복원력이 작용해 곧 회복됨

    타이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노면과 접지부에서 일어나는 변형이 미쳐 회복되기 전에 다음 변형을 맞게 되어 타이어가 물결모양으로 뜨는 현상이 발생

    이러한 진동이 타이어의 회전속도와 같은 주기로 되면 마치 물결치는 모양이 멈춘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현상이라고 함

     

    타이어를 구성하는 타이어코드는 열의 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타이어에 가해진 변형에 의해 발생된 운동에너지가 전부 복원하기 위한 에너지로 바뀌지 않고 타이어의 내부에너지, 즉 열로 남아서 점차 쌓이게 됨

  • 타이어의 표면적이 넓고 외기 온도가 낮으면 방열되므로 급속히 뜨거워지는 경우가 없으나이것이 내부에너지의 축적에 의한 발열이 같은 수준에 도달하는 평형온도에 이르면 스탠딩웨이브 현상이 일어남

  • 스탠딩 웨이브 현상은 타이어를 구성하는 타이어코드나 코드를 접착시켜주는 접착제의 강도까지 저하시켜서 타이어가 갈기갈기 찢어지는 분열을 일으키게되어 결국에는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지게 됨



  • 스탠딩 웨이브 현상 예방법

  • 1) 과속금지

  • 2) 고속주행시 공기압을 평상시보다 20~30%높여줌(공기압 규정치보다는 작게)

  • 3) 적재중량 초과금지(과적금지)

  • 4) 고속으로 주행 시 노후된 타이어재생 타이어 사용 금지






  • ※※ 참고자료

  • 타이어 펑크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급하게 밟을 경우 
  • 타이어가 휠에서 이탈하여 조향이 불가능해지면서, 
  • 펑크가 난 방향으로 차량의 무게중심이 급격히 이동하며 
  • 이로 인한 차량 전복 위험성이 높아진답니다.

  • 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서서히 속력을 줄여 
  • 정지할 경우 차량이 펑크가 난 방향으로 기울어지기는 
  • 하지만 조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한 곳으로 
  •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음

  • 타이어 불량으로 인한 교통사고 월별 현황을 보면 7~8월에 
  • 사고 발생 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여름철에는 도로의 지면 온도가 높아 
  • 고속주행을 하게 되면 내부에서 생긴 열로 인해 타이어 변형이 
  • 쉽게 발생하여, 이로 인해 오래되거나 손상된 타이어는 
  • 스탠딩 웨이브 현상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 2차 사고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
  • * 타이어 불량으로 인한 교통사고 월별 현황(2010∼2014 / 출처 : 도로교통공단 사고 통계)



◆ 주행 중 타이어 펑크 발생 시 대처요령 ◆


  • ① 당황하지 말고 
  • ② 조향핸들에 힘을 주어 꽉 쥔 상태로 
  • ③ 차량 자세가 직진을 향하게 유지하세요. 
  •  브레이크는 절대로 밟지 마세요!! 절대!! 
  • ⑤ 비상등을 켠 상태로 속도가 어느 정도 줄어들면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 시킨다.
  • ⑥ 전문 정비업체를 통해 타이어를 점검하고, 타이어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경우 즉시 교체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