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란?
대중교통과 토지이용을 연계하여
대중교통중심의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도시개발 방식을 말함
TOD는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의 건축가 Peter Calthorpe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개인 승용차에 의존적인 도시에서 탈피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역점을 둔 도시개발 방식임
도심지역을 대중교통체계가 잘 정비된 대중교통지향형 복합용도의 고밀지역으로 정비하고, 외곽지역은
저밀도의 개발과 자연생태지역의 보전을 추구함
도심지역-->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편리한 고밀지역 외곽지역-->자연생태지역의 보전 |
TOD의 성공을 위해서는 교통체계의 개선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근본적으로 대중교통
이용 자체의 편리성과 함께 더 나아가 대중교통 이용으로 인한 도시생활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보장되어야 함
■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의 구체적 방법론
1.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교통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거장을 중심으로 한 도보접근 가능지역(반경 400m~800m)에 중심상업지역을 배치하여
업무·주거·여가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혼합함
2. 업무시설의주차장 용량 및 방사형 도로확장 등을 제한함으로써
개인승용차 교통량을 억제하고 교외 환승가능한 곳에 주차장 공급을 유도함
3. 정거장 주변의 고밀개발지에는 보행자위주의 교통시설을 건설하고
환승과 접근이 용이한 이동시스템을 구축하여 보행성과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높임
■ TOD의 확장
선적, 면적 공간관리 전략과 연계하여 TOC/TOR로 발전
광역/지역적 네트워크의 한 부분으로서의
TOD개념을
TOC(Transit Oriented Corridors)와 TOR(Transit Oriented Regions)의 개념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음
TOD, TOC, TOR의 복합적 결합모델로서 Hub & Spoke 도시공간구조 구상
자료 :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TOD기반의 추진전략, 구자훈 교수
이 또한 기출문제 이더라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친화적자동차의 정의 및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교통기술사 96회차 시험문제) (0) | 2020.08.28 |
---|---|
교통영향평가 지침(2016년)상의 도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사업의 중점분석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 119회) (0) | 2020.08.26 |
섀도구간 (Shadow section) 섀도우 구간 (0) | 2020.08.18 |
PAV(Personal Aerial Vehicle) (0) | 2020.07.07 |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