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스우선신호
사진출처 : https://leaderpost.com/news/local-news/citys-first-bus-priority-traffic-signal-paves-way-for-new-arcola-express-route
1. 개 요
버스우선신호란 교차로의 신호체계를 일시적으로 제어하여
버스가 우선통과 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부여하는 기법
→ 버스통행시간 단축 및 정시성향상 효과
2. 우선신호의 종류
① Preemption 우선신호
- 버스가 검지되면 무조건 정상신호운영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버스에 우선신호가 제공되는 방법
- 버스보다는 긴급출동차량(소방차, 엠뷸런스, 경찰차 등)에 사용하는 신호
- 제약조건 없이 우선신호가 부여되어 일반차량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도로 전체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어 철도건널목 등 위급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
② Priority 우선신호
- 정상적인 신호운영이 유지되는 상태내에서 버스의 우선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시간을 조정하는 기법
- 크게 수동형우선신호와 능동형우선신호로 구분
※ 수동형우선신호(Passive BPS) : 정해진 버스의 운행패턴에 따라 버스에 신호시간을 많이 부여하거나 버스를 중심으로 신호연동체계를 구축하는 방법
(고정시간 제어전략과 스케줄기반 제어전략을 기초로 운영)
※ 능동형우선신호(Active BSP) : 검지기를 통해 버스를 검지하여 실시간 이용특성에 맞게 신호체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녹색신호를 일찍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연장하는 방법 등을 적용
(실시간 신호제어, 스케줄기반 신호제어, 차두시간기반 신호제어를 기초로 운영
3. 능동형 우선신호 운영기법
① 조기녹색시간(Early green)
- 버스가 검지되면 우선신호 제공을 위해 버스 현시가 정상 운영상태보다
일찍 시작되도록 하는 것임
- 상충현시(적색신호) 동안에 버스의 검지가 이루어짐
② 녹색시간연장(Extened green)
- 우선신호 제공을 위해 버스 현시가 정상 운영 상태보다 길게 운영되는 방법
- 버스가 녹색 시간동안 교차로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교차로 통과를 위해 녹색시간을 연장시켜주는 방식임
- 녹색신호 동안에 버스의 검지가 이루어짐
③ 현시 삽입(Phase Insert)
- 버스가 검지되고 신호가 요청될 경우 정상운영 상태에 대중교통 현시가
삽입되는 알고리즘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물류, 자회사물류, 제3자물류, 제4자물류 (0) | 2019.02.18 |
---|---|
델파이기법(Delphi method) (0) | 2019.02.15 |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0) | 2019.02.10 |
ODA(공적개발원조)란? (0) | 2019.02.10 |
다자간 원조(Multilateral Aid) (0) | 201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