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비행고도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최저비행고도란? ※ 항공법 폐지 ‘17.3.30일부로 항공법령이 폐지되고 항공안전법령이 시행됨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99조 제199조(최저비행고도) 법 제68조제1호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최저비행고도"란 다음 각 호와 같다. VFR flight 1.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가.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의 상공에서는 해당 항공기를 중심으로 수평거리 600미터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300미터(1천피트)의 고도 나. 가목 외의 지역에서는 지표면ㆍ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150미터(500피트)의 고도 IFR flight 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가. 산악지역에서는 항공기를 중심으로 반지름 8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600미터의 고도 나... 이전 1 다음